요코하마맨

기본정보기술자
[정보처리기사] TCP/IP 인터넷층, 이더넷
2021.06.25 22:02

IP역할은 데이터의 배송을 실현하는

단말의 식별(어드레싱) : 네트워크 상의 단말을 식별한다.

경로의 결정(루팅) : 데이터의 전송방향을 판단한다.


어드레스 클래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영역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 클래스A : 네트워크어드레스영역8비트 + 호스트어드레스영역24비트 (네트워크수는 100개로 상한이 있다)
  • 클래스B : 네트워크어드레스영역16비트 + 호스트어드레스영역16비트 (네트워크수는 16000개로 상한이 있다)
  • 클래스C : 네트워크어드레스영역24비트 + 호스트어드레스영역8비트 (네트워크수는 200만개로 상한이 있다)
  • 클래스D : 복수의 단말에 송신(멀티 캐스트) 사용 되는 어드레스, 개별적으로 단말에 부여되지 않는다.
  • 클래스E : 개발할 예약되어있는 실험용 어드레스, 통신에 사용 되지 않는다.

어드레스 식별 방법 : 선두의 1비트가 0이면 클래스A, 2비트가 10이면 클래스B, 3비트의 110이면 클래스C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진 어드레스, 유저가 사용 불가능

  1. 호스트 어드레스 영역의 값이 전부 0 경우 172.16.0.0 이면 단말이 아니라 네트워크 전체를 지정한다.
  2. 호스트 어드레스 영역의 값이 전부 1 경우 172.16.255.255 이면 소속한 네트워크 내의 단말에 데이터를 송신할 이용한다.
  3. 미정의 0.0.0.0 32비트 전부 0 경우 IP 어드레스가 할당되지 않은 상태를 말한다.
  4. 루프백어드레스 127.0.0.1 10진수 표기로 127으로 시작하는 어드레스, IP 네트워크 기능이 가동하고 있는가를 확인할 경우 사용된다.


이더넷(네트워크 인터페이스 )

전송로 상의 하드웨어(NIC) 식별하기 위해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전송로 상의 데이터 충돌을 갑지하기 위해 CSMA/CD 방식을 사용한다.

이더넷(Ethernet) LA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제품의 규격이다.

이더넷 규격명 선두의 숫자(10/100/1000) 전송 속도를, 말미 문자는 전송 매체를 나타낸다.

TCP/IP 통신 제어기능과 이더넷의 통신제어기능을 제휴시키기 위해, IP주소와 MAC주소를 관련 지을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대응하는 구조가 ARP이다.


LAN 한정된 부지내에 부설되어 소유자가 구축,운용,관리 하는 네트워크이다.

LAN NIC(인터페이스), 전송로(케이블), 집선장치(리피터 HUB, 스위칭 HUB), 경로제어장치(라우터, L3 스위치) 구성되어있다.

  • NIC : 전송로 상의 데이터를 송수신 하는 부품, 장치와 전송로를 접속하는 역할도
  • 전송로 : 장치 사이를 케이블로 접속한다.
  • 집선창치 : 전송로의 연장이나 집선을 실시해, 데이터를 중계한다.
  • 경로제어장치 : 네트워크를 형성해, 브로드캐스트 통신의 범위를 제어한다.


트위스트페어케이블에는 스트레이트케이블과 크로스케이블 2종류가 있다.

  • 스트레이트케이블 : 송신경로와 수신경로가 교차되지 않는 케이블
  • 크로스케이블 : 송신경로와 수신경로가 1 교차되는 케이블

컴퓨터의 인터페이스(MDI)에서는 1, 2번에서 신호를 송신 3, 6번에서 신호를 수신하지만, 집선 장치인 HUB 인터페이스(MDIX)에서는 컴퓨터와 반대로 1, 2번으로 신호를 수신, 3, 6번에서 신호를 송신시키기 때문에 컴퓨터와 HUB사이에는 스트레이트 케이블 HUB HUB 접속할 때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한다.


무선 LAN IEEE 802.11 규격이 정해져 있다.

구축 , 컴퓨터 측에 무선 LAN용의 NIC 설치해야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라 불리는 제어 장치와 NIC간에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액세스 포인트간의 접속에는, 통상 유선 LAN 사용된다.


이용 빈도가 높은 LAN케이블은 이하 2개가 있다.

  • 트위스트페어케이블 : 케이블 부설성이 뛰어나 저렴한 가격에 구할 있지만 노이즈에 대해 약함
  • 광섬유 케이블 : 광신호를 전파할 있어 다른 케이블 보다 내노이즈성이 뛰어나지만 부설 비용이 비싸다.


집선창치에 리피터HUB 스위칭HUB(L2 스위치) 있다.

  • 리피터HUB : 경로 연장이나 집선을 위해 이용한다.
  • 스위칭HUB : MAC주소를 바탕으로 수신선단 끝이 접속되어 있는 인터페이스에만 데이터를 중계하는 스위치 기능을 가진다.


경로제어 장치에 라우터나 L3스위치가 있다. 모두 라우팅 가능한 장치이다.

  • 라우터 : 이더넷(ethernet) 이외의 네트워크 규격을 상호 접속할 있으며, LAN WAN(인터넷) 접속한다.
  • L3스위치 : 라우터와는 달리 전용 하드웨어로 전송 처리를 하기 때문에 고속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이종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를 사용하고 내부 고속화를 위해 L3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번적인 기업 네트워크이다.


WAN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거점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개인이 부설할 없기 때문에 전기통신사업자(캐리어) 회선 부성공사를 실시하고 서비스로서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WAN 액세스 구간과 네트워크 구간으로 구분된다.


액세스 구간 : 액세스 포인트와 사용자 거점을 연결하는 회선이다. 다양한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어 거리와 요금, 이용 시간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검토한다. (전용선, ISDN, ADSL, 광회선)

네트워크 구간 : WAN 핵심이 되는 회선이다. 캐리어가 부설한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통신 서비스로서 제공되고 있다. 사업자 지역에 따라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기 때문에 적합한 서비스를 검토한다. (인터넷 VPN, IP-VPN, 광역 이더넷)


주된 네트워크 구간의 회선으로서 인터넷VPN, 엔트리VPN, 광역 이더넷, IP-VPN 있다.

  • 광역 이더넷, IP-VPN : 고품질로 안정적인 통신을 있다.
  • 인터넷 VPN, 엔트리 VPN : 저렴한 가격으로 구축 있다.


기본정보기술자카테고리 다른 글
번호 제목 날짜 조회
65 OSI 기본참조모델 03.07 534
66 개념 데이터 모델 작성 예 03.08 708
88 [정보처리기사] TCP/IP 인터넷층, 이더넷 06.25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