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역할은 데이터의 배송을 실현하는 것
단말의 식별(어드레싱) : 네트워크 상의 단말을 식별한다.
경로의 결정(루팅) : 데이터의 전송방향을 판단한다.
어드레스 클래스는 네트워크 어드레스 영역의 길이에 따라 정해진다.
어드레스 식별 방법 : 선두의 1비트가 0이면 클래스A, 2비트가 10이면 클래스B, 3비트의 110이면 클래스C이다.
특별한 의미를 가진 어드레스, 유저가 사용 불가능 함 :
이더넷(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층)
전송로 상의 하드웨어(NIC)를 식별하기 위해 MAC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전송로 상의 데이터 충돌을 갑지하기 위해 CSMA/CD 방식을 사용한다.
이더넷(Ethernet)은 LAN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네트워크 제품의 규격이다.
이더넷 규격명 선두의 숫자(10/100/1000)가 전송 속도를, 말미 문자는 전송 매체를 나타낸다.
TCP/IP의 통신 제어기능과 이더넷의 통신제어기능을 제휴시키기 위해, IP주소와 MAC주소를 관련 지을 필요가 있는데 여기서 대응하는 구조가 ARP이다.
LAN은 한정된 부지내에 부설되어 소유자가 구축,운용,관리 하는 네트워크이다.
LAN은 NIC(인터페이스), 전송로(케이블), 집선장치(리피터 HUB, 스위칭 HUB), 경로제어장치(라우터, L3 스위치)로 구성되어있다.
트위스트페어케이블에는 스트레이트케이블과 크로스케이블 2종류가 있다.
컴퓨터의 인터페이스(MDI)에서는 1, 2번에서 신호를 송신 3, 6번에서 신호를 수신하지만, 집선 장치인 HUB의 인터페이스(MDIX)에서는 컴퓨터와 반대로 1, 2번으로 신호를 수신, 3, 6번에서 신호를 송신시키기 때문에 컴퓨터와 HUB사이에는 스트레이트 케이블 HUB와 HUB를 접속할 때는 크로스 케이블을 사용한다.
무선 LAN은 IEEE 802.11로 규격이 정해져 있다.
구축 시, 컴퓨터 측에 무선 LAN용의 NIC를 설치해야한다.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라 불리는 제어 장치와 NIC간에 무선 통신을 실시한다.
액세스 포인트간의 접속에는, 통상 유선 LAN이 사용된다.
이용 빈도가 높은 LAN케이블은 이하 2개가 있다.
집선창치에 리피터HUB나 스위칭HUB(L2 스위치)가 있다.
경로제어 장치에 라우터나 L3스위치가 있다. 모두 라우팅 가능한 장치이다.
이종 네트워크를 연결하기 위해서는 라우터를 사용하고 내부 고속화를 위해 L3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일번적인 기업 네트워크이다.
WAN은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거점 사이를 연결하는 네트워크이다.
개인이 부설할 수 없기 때문에 전기통신사업자(캐리어)가 회선 부성공사를 실시하고 서비스로서 이용자에게 제공하고 있다.
WAN은 액세스 구간과 네트워크 구간으로 구분된다.
액세스 구간 : 액세스 포인트와 사용자 거점을 연결하는 회선이다. 다양한 서비스가 준비되어 있어 거리와 요금, 이용 시간에 따라 적합한 서비스를 검토한다. (전용선, ISDN, ADSL, 광회선)
네트워크 구간 : WAN의 핵심이 되는 회선이다. 캐리어가 부설한 통신망이나 인터넷을 통한 통신 서비스로서 제공되고 있다. 사업자 및 지역에 따라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르기 때문에 적합한 서비스를 검토한다. (인터넷 VPN, IP-VPN, 광역 이더넷)
주된 네트워크 구간의 회선으로서 인터넷VPN, 엔트리VPN, 광역 이더넷, IP-VPN이 있다.
번호 | 제목 | 날짜 | 조회 |
---|---|---|---|
65 | OSI 기본참조모델 | 03.07 | 534 |
66 | 개념 데이터 모델 작성 예 | 03.08 | 708 |
88 | [정보처리기사] TCP/IP 인터넷층, 이더넷 | 06.25 | 559 |